본문 바로가기
★직업상담사/직상2급_이론

#01-직업상담사 2급 실기 _ 01.직업상담학

by Rim-jyu 2022. 12. 6.
반응형

1. 직업상담사가 갖추어야 하는 자질

  • 내담자에 대한 존경심 가지기
  • 자아의 편견에서 벗어나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.
  • 객관적인 통찰력을 가져야 한다.
  • 도덕적인 입장을 취해야 한다.

 

2. Butcher(부처)의 집단 직업상담 3단계

  • 탐색 단계 -자신을 개방, 흥미와 적성에 대한 탐색, 결과에 대한 피드백, 불일치에 대한 해결
  • 전환 단계 -자신의 지식과 직업세계의 연결, 자신의 가치에 대한 피드백, 가치와 피드백 간의 불일치 해결
  • 동단계 - 목표설정,목표달성을 실행하기 위해 탐색, 정보의 수집과 공유, 구체적인 행동의 실천

 

3. 집단상담의 장점/단점

집단상담의 장점 집단상담의 단점
*시간적 경제적 효율적이다. 
*개인 상담에 부담을 느끼는 내담자들에게 효과적이다
*사회성을 기를 수 있다.
*대리학습(관찰학습)을 할 수 있다.
*성숙도가 낮은 이에게 적합하다.
*참여자 개개인 모두에게 만족을 줄 수 없다.
*집단의 상담으로 개인의 개성이 상실된 우려가 있음 
*상담의 비밀보장이 어렵다.
*개인적인 문제가 깊이있게 다뤄지지 않는다.
*성격과 목적에 맞는 집단 구성이 어렵다.

 

4. 인터넷을 이용한 사이버 직업상담의 필요성

  • 시간, 공간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
  • 접근성 경제성 효율성이 높다.
  • 상담자와 대면하지 않으므로 내담자의 심적 부담감이 적다.
  • 익명성이 보장되어 솔직한 표현이 가능하다.
  • 컴퓨터세대의 청소년에게 적합하다.
  • 문제해결을 위한 자료 탐색이 용이하다.

 

5. 직업상담의 과정 5단계

  • 1. 관계 형성
  • 2. 진단 및 측정
  • 3. 목표 설정
  • 4. 개입
  • 5. 평가

 

6. 윌리암슨(Williamson)의 직업문제 유형(변별 진단) - 무불 어흥

  • 진로 무선택 : 진로를 선택하지 않거나 어느 것을 선택할지 모르는 경우
  • 확실한 선택(확신 부족) : 실패 두려움 적성에 대한 불신 등 직업선택에 확신이 없는 경우
  • 리석은 선택 :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관계없는 목표 등에 대해  어리석은 선택을 하는 경우
  • 미와 적성의 불일치 : 흥미와 적성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로 모순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

 

7. 보딘(Bordin)의 직업문제 유형(심리적 원인) - 자정의 확진

  • 아갈등 : 자아개념과 다른 심리적 갈등으로 인해 직업 결정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
  • 보의 부족 : 진로와 관련된 정보를 받지 못하는 경우나 교육기회 결여로 인해 직업정보가 부족한 경우
  • 존성 : 자신의 직업문제에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고 타인에게 의존하는 경우
  • 신의 결여 : 직업선택과 미래 진로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상황
  • 로 선택에 따른 불안 : 타인과 사회적 요구와 자신이 원하는 중요도가 다를 때 진로선택에 불안 

 

8. 톨버트(Tolbert)의 집단 직업상담 과정에서의 활동 유형 

  • 자기 탐색
  • 상호작용
  • 개인적 정보의 검토 및 목표 설정
  • 직업적 정보의 획득과 검토
  • 의사결정

 

9. 크리츠의 직업문제 유형 (흥미와 적성의 3가지 변인)

  • 적응성: 적응/부적응 형
  • 결정성: 다재다능/우유부단 형
  • 현실성: 비현실성/불충족형/강압 형

 

10. 방어기제의 종류

  • 억압 : 의식에서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을 무의식으로 밀어 넣는 것 
  • 전위 : 화풀이 욕구를 약자에게 푸는 것
  • 투사 : 자신의 심리적 속성이 타인에게 있는 것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 
  • 퇴행 : 이전 발달단계로 한 단계 후퇴하는 것. 미숙한 행동으로 되돌아 감
  • 합리화 : 그럴듯한 변명으로 정당화시키는 것
  • 부정: 감당하기 어려운 현실과 욕구를 무의식 적으로 부정하는 것 

 

11. 아들러(Adler) 개인주의 상담 과정 (치료과정 4단계)

1) 상관관계 형성

2) 개인의 역동성 탐색과 이해

3) 통찰과 요약

4)재교육

 

 

12. 아들러(Adler) 개인주의 상담 목표

  • 사회적 관심을 갖도록 돕는다.
  • 열등감 극복하도록 돕는다.
  • 잘못된 가치와 목표를 수정
  • 잘못된 동기 수정
  • 사회 구성원으로 기여하도록 돕는다.

 

13. 체계적 둔감 법 3단계와 의미

의미 불안을 발생시키는 상황들을 위계적으로 상상하게 해서 점차적으로 불안을 감소시키는 행동치료기법
쳬계적 둔감법 3단계
1단계: 근육이완훈련 근육을 이완시켜 긴장을 풀어지게 훈련한다
2단계: 불안위계목록 작성 불안을 일으키는 목록을 작성한다.
낮은순서->높은 순서대로 배열한다
3단계: 둔감법 위계 목록의 불안정도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한다.

 

반응형